커피지식25 에스프레소 세팅 실전.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다시 블로그를 열심히 운영해보려고 합니다. 카페투어 인스타그램 계정도 운영중이니 많이 찾아와주세요 @travel.coffee_ 현재 블로그에 틀린 내용이거나 조금 햇갈리게 작성된 내용이 있어서 차차 수정하겠습니다.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구요! 저는 매일 아침 출근해서 에스프레소 세팅을 합니다. 그리고 점심 러쉬 전에 한번 맛을 보구요. 러쉬가 끝난 후 다시 맛을 보구요. 퇴근 전에도 한번 맛을 봅니다. 매일 지겹도록 하는 세팅이지만 매일 같이 달라지기에 세팅하는게 즐겁습니다. 제가 에스프레소 세팅하는 루틴을 알려드릴게요. 일단 전제사항으로는 당연하지만 1. 머신 및 그라인더에 이상이 없을 것 2. 채널링이 나면 안되고 3. 도징량, 추출량은 0.1g 단위의 저울을 .. 2022. 8. 26. 생두의 가공방식 3. 허니 프로세스(Honey, Pulped natural) 앞서 내추럴과 워시드 프로세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하게 내추럴 프로세싱은 커피 체리를 나무에서 따자마자 바로 건조 시키는것. 워시드 프로세싱은 커피 체리를 따고 기계를 이용하여 겉 껍질인 펄프를 제거하고 물에 담가 발효로 점액질을 제거하고 파치먼트 상태로 건조를 시키죠. 그래서 내추럴 프로세싱을 거친 커피는 과일, 단맛이 좋은 커피 워시드는 클린하고 산미가 매력적인 커피가 탄생합니다. 그렇다면 허니 프로세싱은 과연 무엇일까요. 역시 간단하게 내추럴과 워시드의 사이 어딘가에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허니 프로세싱은 펄프를 제거하고 점액질이 둘러싸인 파치먼트 채로 건조가 진행되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맛도 좋으면서 산미도 좋은.. 워시드와 내추럴 사이 어딘가 있는 커피가 탄생하게 되죠. 허니 프로.. 2021. 1. 17. 생두의 가공방식 2. 내추럴 프로세스 (Natural Process) 저번 포스팅엔 워시드 프로세스를 다루었습니다. 이번엔 내추럴 프로세스입니다. 내추럴 프로세스는 매우 쉽습니다. 커피 나무에서 잘 익은 커피 체리를 따서 그대로 말립니다. 그리고 알맞게 건조된 체리를 기계로 펄프와 파치먼트를 벗겨내어 생두로 만들죠. 끝입니다. 온전히 커피 체리를 건조하기 때문에 녹진한 과육들이 생두로 스며들게 되어 좋은 단맛과 바디감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과거의 커피원산지에서는 마실 물도 부족했었기 때문에 내추럴 방식의 원두들이 많이 생산되었습니다. 물도 적게들고 비교적 간단했지만 날씨에 영향을 크게 받고 건조베드위에서 얼마나 뒤집어주냐에 따라 체리들이 건조되는 정도가 달라 어떤 체리는 알맞게 건조되지만 어떤 체리는 과하게 발효되어 악취가 나게 됩니다.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단.. 2021. 1. 15. 코로나로 고통 받는 바리스타들에게 하고싶은 말 코로나가 나타난 후 1년이 지났다. 마스크를 쓰고 일하는게 불편했던 적이 있지만 지금은 익숙하다. 방역 잘한다고 전세계적으로 소문났던 우리나라도 3차 대유행에는 무방비하게 뚫렸다. 카페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홀영업이 금지되고 커피보다 공간을 파는 곳에선 직격타가 되었다. 잘한다 잘한다하는 카페들도 인원을 감축하고 배달을 시작하게 되었다. 21년 3분기는 되어야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한다. 소비자들의 소비의 방식이 급격하게 바뀌었다. 5년은 빨리 찾아온 듯하다. 올해도 이러한 변화들이 가속화 되어 바리스타 혹은 카페를 운영하는 사장님들은 직접적으로 변화를 느끼게 될 것이다. 현재 쉬고 있는 바리스타들, 바리스타 지망생들이 많을 것이다. 쉬는 동안 무엇을 해야 할까. 그 전에 바리스타를 왜 하고 싶은지.. 2021. 1. 11. 이전 1 2 3 4 ··· 7 다음